모든 프로그램이 그러하듯이 파이썬도 왼쪽에 변수 = 을 오른쪽에 값을 배치합니다.
변수에 값을 담는다는 의미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그렇게 운영 됩니다.
>>>a=30
>>>b=40
>>>result = a + b
>>>print("result: %04d" % result)
result: 0070
python shell에 실행을 위의 문장을 실행하면 a=30과 같이 값을 입력하는 과정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리고 맨 마지막 줄에 print문을 만나면 비로써 출력이 됩니다.
그런데 출력 방법이 이전과 다름니다.
C 언어를 공부하신 분은 금방 이게 글짜를 포맷팅 하는 거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rint에 그냥 ',' 만 기술하면 그냥 문자를 연속적으로 출력할 뿐입니다.
python은 객체함수 format을 가집니다.
python은 자바처럼 클래스와 클래스 내부함수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자바가 상속과 피상속을 구현하지 않고 확장의 개념을 가지는 것과 다르게
python은 하위 상속과 피상속의 개념이 있습니다.
파이썬은 자바처럼 정수변수의 값을 바로 문자로 변환해 주기는 하지만 연산 과정에서는 문자 type가 정수 type은 연산이 불가능하다며 에러를 냅니다 .
그것을 보면 파이썬은 자바 같은 고급언어 보다는 C언어에 더 가깝습니다.
언어를 어떻게 사용하느냐 방법에 따라 언어는 인터프린터 언어와 컴파일 언어로 나누어 집니다.
인터프린터 언어는 자바스크립트나 php같은 인터넷 언어가 많습니다.
컴파일 언어는 C,C++,Java 와 같이 서버언어가 많습니다.
파이썬은 약간 중간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행하기 전에 해당 코드 블럭은 컴파일 하듯이 검사해서 오류가 없는 경우 실행하고 오류가 있을 경우 실행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위와 같이 shell기능을 제공합니다.
어디에도 없는 특이한 기능입니다.
OS를 배우신 분들은 OS를 구성하는 것이 기계를 직접 제어하는 kernel과
kernel가 인간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shell로 되어 있다는 것을 아실 겁니다.
다른 언어는 다 만들어 진다음 인터넷이나 shell에서 실행 되지만 python은 처음부터 자신의 shell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은 파이썬은 여러 가지 영역을 다 다루는 광범위한 언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ython > python 기초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 3 사칙 연산 (0) | 2023.01.24 |
---|---|
파이썬 기초 1 - 설치 (0) | 2023.01.24 |